사업분야
전기/전자산업 폐수처리
전기·전자산업 폐수처리
개요
전기 및 전자산업이 발달할수록 폐수처리공정도 산업폐수 성상에 맞추어 변화되고 있습니다. 전기 및 전자산업 폐수는 크게 무기폐수와 유기폐수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사업장에서 폐수가 배출될 시, 폐수를 무기폐수와 유기폐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것이 최적의 폐수처리 설계를 위하여 유리합니다. 일반적인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리 공정도
무기폐수 처리공정도 Inorganic Wastewater Treatment Diagram

초순수 설비 중 전처리설비는 공업용수중에 함유된 부유물진(Suspended Solid), 탁도(Turbidity), 그 밖의 색도(Color), 맛, 냄세 등을 제거하는 설비입니다. 본 공정은 전통적인 전처리설비의 공정이며, 최근에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MF(Micro-membrane Filter), UF(Ultra Filter) 등의 Membrane Filter를 많이 사용합니다.
- Multi-media Filter는 물속에 존재하는 SS(부유물질) 및 탁도 성분을 제거합니다.
- A/C Filter는 물속에 존재 BOD,COD,TOC 등의 성분을 제거하여, 후단 공정의 R/O 및 MBP 운전에 적합한 수질을 제공하는 설비입니다.
유기폐수 처리공정도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Diagram

순수처리공정은 여과수 중에 함유된 양이온 및 음이온 성분을 제거하여 순수를 생산하는 공정입니다. 전통적으로 순수설비는 이온교환수지탑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해 역삼투막(R/O unit)설비와 연속전기탈염(CEDI)설비 조합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R/O Unit은 물속에 존재하는 이온성분 및 TOC 등을 제거하여 초순수 제조를 위한 1차 순수를 제조하는 설비 입니다.
초순수제조공정 Polishing System

초순수제조공정 중 Polishing System은 Pretreatment & Make-up System에서 생산된 순수(Demi Water) 중에 함유된 미립자(Particle), 용존산소(DO),
총유기탄소(TOC), 실리카(SiO2), 보론(Boron), 박테리아(Bacteria) 등을 제거하여 사업주가 원하는 초순수(Ultra Pure Water)를 최종적으로 생산하는 공정이며,
Polishing 공정도에 사용된 각 장치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TOC UV는 순수중에 함유된 TOC성분을 185nm 의 초단파를 사용하여 분해시켜 TOC성분을 제거하는 장치 입니다.
- Anion & MB-Polisher는 순수 중에 함유된 극소량의 이온성분까지 제거하여 비저항 18㏁·㎝ 이상의 고 순도를 제조하는 설비 입니다.
- MDG(Membrane Degasifier)는 초순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이산화탄소(CO2) 및 용존산소(DO)를 제거하는 설비입니다.
- UF는 18 ㏁·㎝ 이상의 고 순도의 순수중에 함유된 미립자 를 제거 Particle을 보증하여 초 순수제조를 완료하는 최종 설비 입니다.
MBR (Membrane Bioreactor)
최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방법과 막분리 공법이 혼합된 MBR 공정으로 생활폐수와 산업폐수처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BR 장치는 생물학적 반응조 내부에 혹은 외부 순환방식으로 설치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넓고, 설치공간이 간소하며 공정이 축소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염도가 높은 폐수처리, 높은 수량의 폐수처리, 폐수재이용, 슬러지 감소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탁월한 여과성능으로 활성슬러지공법과는 달리 여과설비와 소독시설이 불필요합니다. 시설의 컴팩트화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축소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장점
- 높은 기준의 폐수처리 능력
- 생물학적 농축도
- 설치공간의 간소화 및 공간활용
- 슬러지 감소화 및 경제성 창출
- Objectives
- 생분해성 약품 사용 감소
- 세균, 탁도, 유기물 감소
- 표면활성 약품 사용 감소
- 적용 분야
- 생활, 산업폐수 처리
- 高 오염수 처리
- 폐수 재활용

MBR 막오염 방지기술
최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방법과 막분리 공법이 혼합된 MBR 공정으로 생활폐수와 산업폐수처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BR 장치는 생물학적 반응조 내부에 혹은 외부 순환방식으로 설치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넓고, 설치공간이 간소하며 공정이 축소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염도가 높은 폐수처리, 높은 수량의 폐수처리, 폐수재이용, 슬러지 감소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탁월한 여과성능으로 활성슬러지공법과는 달리 여과설비와 소독시설이 불필요합니다. 시설의 컴팩트화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축소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기적인 역세정
처리수를 여과 반대방향으로 주입하여 공기세정과 분리막 표면의 부유물 퇴적 방지
밸브 자동조작으로 단일 펌프에 의한 여과와 역세정 수행(14분 여과, 30초 역세정)
- 사이클릭 공기세정
- 산기관을 양분하여 10초 간격으로 공기 교대공급
- 생물반응조 내 과포기 방지 및 동력비 절감효과
- 주기적 유지세정
- 역세정수에 약품 첨가 (NaOCl)
- 30초 역세정, 10분간 정치 과정을 반복
- 주 2~3회 시행으로 생물 반응조 영향 없이 분리막 표면의 미생물 증식 억제
- 운전 자동화에 의한 막 파울링 제어
폐수처리 및 재이용 설비
폐수처리 및 재이용 설비 가정용과 산업용 폐수의 오염정도는 크게 상이합니다. 폐수는 화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물리적인 공법들을 통하여 정제 후 배출, 혹은 특정 사용목적에 부합되도록 정제 후 재사용 됩니다. 폐수처리 공정은 기본적으로 오염물질 제거와 정수 생성이라는 순환적 프로세스로 설계됩니다. 한성크린텍은 다양한 산업의 폐수처리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험과 Know-How를 바탕으로 산업폐수 특성에 가장 적합하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